![]() 경상남도의회 이용식(국민의힘, 양산1) 의원 |
이용식 의원은 “행정안전부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인구감소지역의 장기적 활력 회복을 위한 재원임에도, 단기적 시설조성이나 일회성 사업에 집중되고 있다”며 “특히 인구감소가 심각한 일부 시군의 집행률이 10%도 되지 않는 것은 단순히 구조적 문제로만 볼 게 아니라, 사업을 승인한 도 역시 책임을 느껴야 한다”고 질타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방소멸대응기금은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전국 3조5,379억원이 배분됐으며, 이 중 2조2,105억원이 집행되어 집행률은 62.5% 수준이다. 경남의 경우 총 3,459억원 중 1,964억원이 집행돼 56%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특히 남해(1.3%), 사천(2.9%), 함양(6.3%), 거창(10.4%) 등 일부 시군은 10% 미만으로 저조하다.
이 의원은 특히 “단기성과 중심의 사업보다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는 인구·일자리 연계형 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기금의 본래 취지는 사람을 붙잡는 정책에 있다”며 “2025년 이후에는 청년 정착, 인구유입, 생활기반 확충 등 소프트웨어형 사업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는 기초지자체의 집행률 부진에 대한 근본적 대응책을 마련하고, 청년·정주·일자리 등 실질적 효과를 낼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며 “기금이 단기성과 위주의 예산이 아니라, 지역이 살아남는 기반이 되도록 긴장감을 가지고 추진해 달라”고 주문했다.
마지막으로 이용식 의원은 “경남도의 인구감소 대응은 더 이상 ‘빨리 쓰는 것’보다 ‘제대로 쓰는 것’이 중요하다”며 “성과 중심의 평가와 중장기 계획에 근거한 지속 가능한 대응 전략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2025.11.09 2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