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고양특례시의회 송규근 의원, '고양시 시민복지재단 설립' 추진에 근본적 문제 제기
검색 입력폼
정치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고양특례시의회 송규근 의원, '고양시 시민복지재단 설립' 추진에 근본적 문제 제기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고양특례시의회 송규근 의원, '고양시 시민복지재단 설립' 추진에 근본적 문제 제기
[남도기자협회]고양특례시의회 문화복지위원회 송규근 의원(더불어민주당, 효자·삼송1·2·창릉·화전)은 17일 열린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2일차 감사에서, 민선 8기 시 집행부가 추진 중인 ‘고양시 시민복지재단 설립’ 계획에 대해 “구조적 타당성이 부족하다”며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했다.

송 의원은 먼저 고양시 복지예산의 구조적 현실을 짚었다. 2025년 기준 고양시 전체예산 약 3조 8천억 원 중 사회복지예산은 약 1조 4천5백억 원에 달하지만, 이 가운데 시비 100%로 편성된 복지예산은 약 1,595억 원으로 전체의 약 11%에 불과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고양시 복지예산의 89%가 국·도비 보조사업과 법정 의무지출로 구성돼 있어 재단이 자율적으로 기획·집행할 수 있는 영역은 사실상 시비 100% 사업뿐”이라며 “재량권이 극히 제한된 상황에서 5년간 158억 원을 투입해 재단을 설립한다는 것은 정책 효율성과 재정 건전성 측면에서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최근 국내 연수에서 살펴본 타 지방자치단체 복지재단의 운영 실태도 거론했다. 송 의원은 “시 집행부는 복지재단을 ‘복지정책 컨트롤타워’로 삼겠다고 주장하지만, 실제 방문한 복지재단 중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 곳은 없었다”며 “대부분의 지자체가 비슷한 예산 구조를 갖고 있는 만큼, 재단의 정책적 위상과 실질적 권한이 제한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어 송 의원은 조직 신설이 가져올 행정적·재정적 부담도 우려했다. 그는 “새로운 조직이 생기면 일부에게는 자리가 생기겠지만, 결국 기존 조직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또 하나의 연구·기획기관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며 “고양연구원이 이미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연 복지재단이 실질적인 차별성과 독자적 복지사업을 발굴해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끝으로 “앞으로 구성될 제10대 고양시의회와 민선 9기에서도 이 논의가 다시 등장할 수 있다”며 “그러나 재정자립도 약 32%, 재정자주도 약 51%에 머무는 현 재정 여건을 감안할 때, 복지재단 설립은 우리 고양시에 시기상조이며 반드시 보다 면밀한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정치 주요뉴스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