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꿈의 에너지 인공태양 연구시설, 군산 유치 본격화

‘인공태양 최적지는 가장 먼저 잘 준비된 땅, 새만금’… 적극 홍보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2025년 11월 11일(화) 11:14
군산시 꿈의 에너지 인공태양 연구시설, 군산 유치 본격화
[남도기자협회]군산시 지역사회에서 이른바 ‘꿈의 에너지’라 불리는 인공태양 연구시설의 새만금 유치를 위한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핵융합은 태양이 빛과 열을 내는 원리로 바닷물 속 수소가 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온실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폭발 위험이 없는 안전하고 청정한 에너지로, 인공태양에서 만들어지는 수소 1그램은 석유 8톤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어 ‘꿈의 에너지’로 불린다.

이런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지난 15일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부지 유치’ 공모를 추진하고 있으며 여러 지자체가 관심을 보인 상황이다.

이 사업은 2027년 사업을 시작해 5년 이내 인프라 구축을 완료하고, 2036년까지 7대 핵심기술 개발 3,500억 원, 연구 인프라 구축 8,500억원 등 총 1조 2,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새만금은 부지, 용수, 전력과 정주여건 등이 우수하여 즉시 사업 착공이 가능한 가장 먼저 잘 준비된 곳으로 평가받는다.

군산시 역시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를 통해 플라즈마기술연구소와 연계하면 차세대 미래 에너지의 중심도시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달 29일 지역 내 혁신기관·교육기관 등 관계자 200여 명은‘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기원’ 플로깅 행사를 열었으며, 사업대상 예정부지 소재지인 소룡동의 자생단체 간담회에서는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염원을 담은 현수막 및 피켓 퍼포먼스가 펼쳐졌다.

전북자치도·군산시·새만금개발청 등도 지난 6일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위원회 발족 및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새만금 지역에 인공태양을 품기 위한 채비를 마치고 도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위해 유치 기원 응원 챌린지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군산시청 직원들이 직접 참여하고 제작한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응원 홍보영상이 유튜브 등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크게 화제가 되고 전 청원이 홍보대사에 나서는 등 유치 열기가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국립군산대학교 역시 대학원의 ‘플라즈마학과’를 ‘핵융합·플라즈마학과’로 개편하는 동시에 군산시와 함께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를 위해 발벗고 나섰다.

이를 통해 미래 에너지 산업의 핵심으로 꼽히는 핵융합 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 체계를 대학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군산은 2012년 군산 국가산단에 지방비 200여억 원을 투입해 플라즈마기술연구소를 설립했다.”라며 “당시 협약을 통해 핵융합 연구단지 기반 조성 추진에 대해 협력하기로 하는 등 일찍부터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를 위한 준비를 한 만큼 이미 핵융합에 필요한 연구기반을 갖추고 있는 도시.”라고 강조했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이 기사는 남도기자협회 홈페이지(namdoja.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amdoja.kr/article.php?aid=169133181044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1일 21:3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