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읍시, 2026년 예산안 1조 2352억원 편성…‘시민 행복’ 집중 올해보다 750억(6.47%) 증가…민생·미래산업·문화·인프라 5대 분야 방점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
| 2025년 11월 11일(화) 13:08 |
![]() 정읍시청 |
시는 ‘시민 행복’을 최우선 가치로 민생 회복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재원을 집중 배분한다는 방침이다.
예산안 규모는 일반회계 1조 1394억원, 특별회계 958억원이다. 세입예산을 살펴보면, 자체재원인 지방세와 세외수입은 1066억원에서 1087억원으로 21억원(1.97%) 증가했다.
의존재원인 지방교부세는 4717억원에서 5180억원으로 463억원(9.8%) 증가했으며, 조정교부금은 248억원, 국·도비 보조금은 4183억원에서 4492억원으로 309억원(7.37%) 확대됐다.
시는 불필요한 지출은 줄이고 성과 중심의 재정 운용과 효율적 집행에 중점을 뒀다.
내년도 5대 주요 시정 운영방향별로 보면, 먼저 모든 세대가 행복한 맞춤형 일상 복지 서비스를 강화한다.
예비부부 결혼예식비 지원을 최대 200만원으로 확대하고 공공산후조리원 설립을 추진하며, 1인 청년가구 식비(월 15만원)와 첫 주택·직장·차량 취득비(연 300만원)를 신규 지원해 청년 자립을 돕는다.
또한 신중년층 재도약 취업지원, 장년층 치매치료 지원 확대 등 세대별 맞춤 정책을 두텁게 한다.
둘째, 첨단 바이오와 신산업 육성으로 정읍형 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바이오 지식산업센터 건립(2026~29년, 365억원)과 국가바이오자원 산업화 허브 구축(2026~29년, 380억원)을 본격 추진하고, 근로자 정착지원 프로그램(5억원)을 병행한다.
또한 태인 신규 일반산업단지 조성과 반려동물 헬스케어 플랫폼 및 놀이동산 조성을 연계해 신성장 동력을 확보한다.
셋째,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문화·관광도시를 만든다. 무성서원 유교수련원과 국가유산 미디어아트관을 본격 운영하고, 무형유산 전수교육관(100억원), 정읍문학관(30억원) 등을 조성해 문화 체험공간을 확충한다.
내장호 일원에는 생태관광 수변공간을, 국립숲체원과 아양산 치유의 숲을 잇는 산림복지 휴양벨트도 조성할 계획이다.
넷째, 품격 있는 도심공간과 활력 넘치는 생활 인프라를 구축한다. 연지동 행정문화복합타운(2026~30년, 310억원) 조성을 시작하고, 지하차도 침수 차단시설(7개소, 36억원)과 주거 밀집지역 공영주차장(92억원) 확충으로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환경을 만든다.
황토현 축구장(54억원), 정읍천대교 파크골프장(56억원) 등 체육시설도 확충한다.
다섯째, 변화하는 농업환경에 대응해 미래농업 기반 강화에 힘쓴다.
농업인안전보험 농가부담금 지원(15억원)과 농촌 인력지원센터 운영(3억원)으로 농가 경영부담을 덜어준다.
스마트과수원 특화단지(43억원) 조성, 과학영농 통합관제실 운영 등 첨단농업 기반을 구축하고, 농생명산업지구(50억원)와 치유농업 클러스터(99억원)를 본격화해 복합형 소득 창출 구조를 완성한다.
이학수 시장은 “2026년은 그간 쌓아온 노력을 결실로 전환하고 내일의 도약으로 이어나갈 실행의 원년”이라며 “모든 정책의 중심을 시민의 행복에 두고 정읍의 미래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