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회 AI특위, 지역 AI기업과 첫 조찬간담회 개최 AI특위 본격 활동, “현장의 목소리로 AI정책 다듬는다”

광주 AI기업과 11월 중 6차례 릴레이 조찬간담회 예정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2025년 11월 11일(화) 14:35
‘제1차 AI기업 조찬간담회’ 현장사진
[남도기자협회]광주광역시의회 인공지능실증도시특별위원회는 11일 오전,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지역 AI기업 관계자들과 ‘제1차 AI기업 조찬간담회’를 열었다.

‘AI기업들에게 듣는다’를 주제로 열린 이날 간담회에는 신수정 의장과 AI특위 위원들을 비롯한 지역 AI기업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제조업에 대한 AI교육 및 지원 신설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지속 지원 강화 ▲지역 AI기업과 중소기업, 뿌리기업 연계 지원책 강화 ▲중앙 이전 기업과 지역기업 간 상생방안 ▲기업맞춤형 AI사관학교 인재양성 ▲공공기관 공간제공형 AI실증사업의 개선 등 다양한 의견을 쏟아냈다.

이날 간담회에서 김종민 광주 9대산업협의회 인공지능분과장은 “AI는 빠르고 제조는 느리다. 중간에 미드필더가 필요하다. 뿌리산업 및 소부장산업 등 제조업 현장에서도 고령화에 따라 AI를 접목해 돌파구를 찾고 싶어한다”며 AI기업과 연구기관, 제조업 간의 소통과 AI교육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건설현장 안전관리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는 ㈜아이티앱스 조춘호 대표는 “(광주AI데이터센터 이용과 관련) 6개월씩 사용하는 GUP 사용기간을 최소 12개월로 해주고, 매번 새로 선발하는 방식이 아닌 갱신하는 것으로 제도를 개선해 줄 것”을 건의했다.

김세영 ㈜엑스알에이아이 이사는 “콘텐츠 기반 AI기업은 실증사업을 기반으로 레퍼런스를 쌓아야 한다”며 “광주가 주로 진행하고 있는 공공기관 장소 제공형 중심의 실증사업은 접근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강수훈 위원장은 “오늘 기업인들께서 주신 의견을 면밀히 정리해 광주시 정책에 반영되도록 노력하겠다”며 “당장 반영이 어려운 사안이라도 그 이유와 한계를 명확히 피드백하는 것이 우리 특위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이어 “AI산업의 주체는 현장에 있다. 기업의 목소리를 시정에 반영하고, 전문가의 지혜로 제도적 뒷받침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AI특위는 연말까지 광주 AI산업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활동을 집중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11월 한 달 동안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 총 6차례에 걸쳐 AI기업 간담회를 열어 현장의 정책 수요와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한다.

이어 12월에는 전문가 간담회를 통해 광주 AI정책의 중장기 방향, 법 개정 건의, 조례 제·개정 등 제도화 방안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제2차 조찬간담회는 오는 11월 14일 오전 7시 30분에 열리며, 김운섭 광주테크노파크 정책기획본부장이 ‘AI 모델 발전 트렌드’를 주제로, 광주인공지능융합사업단이 ‘광주 AX 실증밸리 조성사업 추진현황’을 주제로 각각 발제할 예정이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이 기사는 남도기자협회 홈페이지(namdoja.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amdoja.kr/article.php?aid=169150990448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1일 20: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