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어장정화선, 「해양환경 파수꾼」으로 자리매김

연안 1,151ha 정화... 해양폐기물 총 121톤 수거 성과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2025년 11월 13일(목) 10:32
선상집하장
[남도기자협회]전북특별자치도는 도 해양환경 보호를 위해 투입한 어장정화선(전북901호)이 2025년 공유수면 정화작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며 ‘해양환경 파수꾼’으로 자리매김했다고 밝혔다.

전북901호는 2023년 67억 원을 투입해 건조된 171톤급 선박으로, 800마력 엔진 2대와 폐기물 수거용 크레인 등 정화작업 특화 장비를 갖추고 있다. 선박 전·후방에서 동시에 작업이 가능해 효율적인 해양폐기물 수거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는 매년 초 각 시군의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어업인 및 어촌계의 의견을 반영해 정화가 시급한 지역을 우선 선정하고 있다. 올해는 군산(641ha), 부안(360ha), 고창(150ha) 등 총 1,151ha의 공유수면을 정화해 32톤의 해양폐기물을 수거했다.

또한 어선 및 연안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어구·폐그물 등을 적재할 수 있는 선상집하장을 적극 활용하여 총 10회 접안, 81톤의 해양폐기물을 육상으로 이송·처리했다. 이를 통해 연안 발생 폐기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선상집하장 기반의 해양폐기물 처리체계를 본격화했다.

특히 지난 7월 집중호우로 인해 개야도에서 금강하구에 이르는 해역에 대량의 해양폐기물이 유입되자, 전북도는 충남도와 협력해 ‘광역 공동 대응체계’를 가동했다. 충남의 늘푸른충남호(정화운반선)와 협력 수거작업을 통해 8톤의 폐기물을 공동으로 수거·운반함으로써, 지자체 간 해양쓰레기 공동 대응 모델을 실제로 구현했다.

전북901호는 올해 목표 작업량을 모두 마친 후 11월 말부터 조선소 상가(上架) 수리에 들어가 선체 청락 및 도장, 기기 정비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김병하 전북자치도 해양항만과장은 “올해 어장정화선이 해양폐기물 수거부터 선상집하장 처리, 집중호우 대응까지 역할을 크게 넓히며 해양환경 보호의 중심 축으로 자리잡았다”며 “늘어나는 해양폐기물 대응 수요에 맞춰 인력 확충 등 운영 여건을 개선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화선 운영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이 기사는 남도기자협회 홈페이지(namdoja.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namdoja.kr/article.php?aid=169248311386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3일 16:0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