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종 전남도의원, 디지털교과서 정책 혼선... 연구학교 연계성 보장해야 지원 중단은 책임 회피로 비쳐... 연속성 무너지면 연구성과도 사라진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
| 2025년 11월 17일(월) 11:58 |
![]() 행정사무감사 중인 박원종 전남도의원 |
박 의원은 “전남에서는 1학기 134개 학교, 2학기 29개 학교가 선택해 디지털교과서를 운영하고 있다”며 “현장에서 혼란과 부담이 큰데도 꾸준히 사용하는 학교가 있다는 것은 그만큼 교육적 장점을 확인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디지털교과서가 교육자료로 격하되면서 2026년부터는 학교 기본운영비로 알아서 운영하라는 방침이 나왔는데, 이는 책임을 학교에 떠넘기는 것에 불과하다”며 우려를 표했다.
또한 박 의원은 “연구학교는 이미 1년간 축적한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수업 혁신을 이어가고 있는데, 갑작스러운 지원 축소는 연구성과를 무력화시키고 연속성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며 “학교의 교육적 성과가 단절되지 않도록 지원 원칙과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문태홍 정책국장은 “구독형 코스웨어, EBS 연계, 온라인학교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 중이며, 3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해 급별 맞춤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이어 “디지털교과서, AI교육, 2030교실 등 유사 사업을 선정할 때는 기존 연구·시범학교가 쌓아온 성과와 특성을 연계해 평가해야 한다”며 “단순 신청·분배 방식이 아니라, 학교가 이어온 교육 흐름과 효과가 시너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선정 기준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학교가 스스로 감당하라는 방식으로는 현장의 수업 혁신을 유지할 수 없다”며 “정책이 바뀌더라도 교육 연속성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 지원 체계를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