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태창 전북도의원, “전북특별법 개정안 진전 없이 표류” 도민 체감도는 낮고, 실질적 자치 실현 요원해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
| 2025년 11월 17일(월) 19:01 |
![]() 강태창 의원(군산1) |
전북특별자치도는 제주·세종·강원과 함께 특별자치시·도로 지정됐으나, 과세자주권이 부재한 상황에서 여전히 중앙정부의 재정지원에 의존하고 있는 구조임에도, 전북도는 기초자치단체가 없는 제주·세종의 단층형 구조를 무비판적으로 벤치마킹해왔다는 점에서 정책 설계의 오류가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강태창 의원은 특히 “제주도는 보통교부세 총액의 3%를, 세종시는 재정부족액의 25%를 지원받는 구조인데, 이는 국가 주도형 특별자치도 설계에 기반한 것”이라며, “지방 주도형이자 복층 구조를 가진 전북이 이를 그대로 따르는 것은 정책 방향의 기본을 잘못 잡은 것”이라고 일갈했다. 또한, 제주와 세종은 최근 보통교부세 조정률 급감으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전북도는 사전 대응 전략이나 대안 제시 없이 동일한 틀을 반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책임한 도정 운영의 한계를 지적했다.
강태창 의원은 “지금과 같은 전략 부재, 책임 회피, 형식적 대응으로는 전북특별법 개정은 물론 실질적인 자치권 실현도 불가능하다”라며, “이름만 특별자치도일 뿐,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자치권 확대나 재정특례가 없다면 전북도정의 존재 의미도 퇴색될 수밖에 없다”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강태창 의원은, 전북 실정에 맞는 독자적인 자치모델 수립, 실효성 있는 재정특례 도입, 도민 체감형 자치분권 실현을 위한 전략 재정립을 강력히 촉구했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