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 노지 온주밀감 수확 현장 찾아 일손 돕기 오영훈 지사, 20일 서귀포농협서 공공형 계절근로자와 감귤 수확 참여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
| 2025년 11월 20일(목) 18:50 |
![]() |
제주도가 3년 연속 제주 감귤 조수입 1조 3,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품질 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출하 초기 품질관리와 인력난 해소 정책을 현장에서 점검하기 위해 나섰다.
오 지사는 이날 서귀포농협 공공형 계절근로자와 함께 감귤 수확 작업에 참여하며 농가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수확 작업을 함께하며 현장 상황을 살핀 오 지사는 “수확 전 방제·수분 관리, 수확 후 철저한 선별 기준 준수가 제값을 받는 핵심”이라며 “5㎏ 기준 평균 가격이 1만 2,000원 내외로 형성돼 있고, 향후 가격 전망도 밝아 농가와 산지단체가 함께 노력하면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노지 온주밀감 생산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산 노지 온주밀감 예상 생산량은 39만 5,000톤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생육·당도·외관이 좋은 편이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전국 9대 도매시장 평균 누계 가격은 1만 1,324원으로 전년 대비 13% 상승해 가격 호조세가 지속되는 상황이다.
제주도는 감귤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2023년 1개 농협 41명으로 시작한 이 사업은 올해 6개 농협 230명 규모로 늘어났으며, 내년에는 12개 농협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날 방문한 서귀포농협에는 베트남 근로자 37명이 투입돼 농가 인력 수급을 돕고 있다.
오영훈 지사는 “베트남 난딘성 등 상대국 지방정부와의 MOU를 기반으로 계절근로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농가 수요 증가에 따라 내년에는 더 많은 농협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상대국 정부와의 협의 절차를 충실히 거쳐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올해 감귤은 생육과 당도가 우수하고, 가격도 전년 대비 13% 상승하는 등 좋은 출발을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 남은 수확 기간 동안 품질관리에 힘쓰면 농가 소득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격려했다.
제주도는 앞으로도 △수확 전·후 품질관리 강화 △표준 선별기준 준수 독려 △공공형 계절근로자 확대 △생산·유통 기반 개선 등을 추진하며 감귤산업 경쟁력 강화를 이어갈 계획이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