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2025년 방사광가속기 활용 신약개발 심포지엄’ 개최
검색 입력폼
건강

충북도, ‘2025년 방사광가속기 활용 신약개발 심포지엄’ 개최

방사광가속기, 신약 개발 혁신의 핵심 인프라로 비전 제시

‘2025년 방사광가속기 활용 신약개발 심포지엄’ 개최
[남도기자협회] 충북도는 17일 충북 약학대(오송)에서 충북대학교와 충북과학기술혁신원 공동으로 ‘2025년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신약개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의약품 개발에서 방사광가속기의 활용’이란 주제로 열린 이번 심포지엄은 표적 저분자 신약 개발 기업 ㈜노보렉스 대표인 손우성 박사를 비롯한 충북대학,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산학연 전문가 5명 및 관련분야 전문가와 학생 50여 명이 참여했다.

이날 발표 세션에서는 △신약개발용 단백질 구조 분석 기술 △방사광을 이용한 약물 반응 메커니즘 규명 △AI 기반 약물 탐색과 방사광 데이터 융합 사례 등 산·학·연 공동 연구 성과와 발전 방향을 공유했다.

또한 패널토론에서는 “방사광가속기의 가동은 충북뿐만 아니라 국가 바이오·헬스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2029년 완공 예정인 충북 다목적 방사광가속기(4 GeV급)는 연X선·경X선을 활용해 단백질 구조, 약물 결합, 나노 물질 반응 등을 원자 단위로 관찰할 수 있는 첨단 연구 장비다.

심포지엄에 참석한 손우성 대표는 “서울 중심의 연구 생태계에서 벗어나, 충북이 방사광과 바이오가 만나는 신약 연구의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음을 실감했다”고 말했다.

전도성 도 방사광가속기추진과장은 “방사광가속기는 단순한 물리학 실험 시설이 아니라 바이오·의약·신소재 산업이 융합되는 다학제 연구 플랫폼으로써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충북이 ‘방사광 기반 신약개발 허브’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오늘의 인기기사